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90건)

유진근(柳晉根)
유진근(柳晉根, 1853~?)의 본관은 서산이며 자는 중진(仲進)이며 호는 나재(懶齋)이다.  광주 동각에 살았다.부 : 柳是漢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1929년 羅燾圭 문인들의 昭義契案에 참여했다.
안정환(安正煥)
안정환(安正煥, 1843~1909)의 본관은 죽산이고 자는 덕유(德有), 호는 명수(明水)이다.부 : 安瑛壽조 : 安思行증조 : 安碩魯외조 : 盧彦鉉처부1 : 尹佑鎭처부2 : 丁奇杓노사 기정진에게 수학하였다.
고광선(高光善)의 『현와유고(弦窩遺稿)』
『弦窩遺稿』는 석판본 16권 8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는 시 247수, 권2~3에는 서 442편, 권4에는 잡저 107편, 권5에는 序 99편, 권6~7에는 記 283편, 권8에는 발 37편, 銘 4편, 贊 5편, 辭 5편, 혼서 1편, 상량문 22편, 축문 11편, 제문 6편, 권9에는 碑 57편, 권10~11까지는 묘갈명 109편, 권12에는 묘지명 5편, 묘
김석구金錫龜
金錫龜의 자는 景範, 호는 大谷, 본관은 金海이다. 1835(헌종 1) 2월 남원 松洞面細田에서 金國賢의 아들로 출생했다. 김국현은 아들 김석구가 학문에 힘쓰자 그를 위하여 곡성으로 옮겨 글공부를 하게 하였다. 그는 隣里書塾에서 『小學』을 배우고 이어 맹자를 배우자 스스로 맹자를 자처하였다. 이후 그는 17․8세에
김석구(金錫龜)의 『대곡유고(大谷遺稿)』
『大谷遺稿』는 김석구의 시문집으로 6권 3책의 목활자본이다. 序는 1901년 崔益鉉이 지었다. 최익현은 奇正鎭의 수제자로서 김석구의 학술상의 위치를 중국의 정명도와 정이천 형제에 비유하였다. 권1은 시이다. 모두 102수를 수록하였는데, 궁핍한 생활에 자족하면서 자신에 대한 성찰이나 자연이나 천리에 대한 이치를 노
박노술(朴魯述)의 『석음유고(石陰遺稿)』
朴魯述의 자는 公善, 호는 石陰, 본관은 順天으로, 1851년에 光州 安淸里에서 觀魚軒 陽東과 長興高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奇正鎭에게서 수학하였으며, 특히 性理學에 조예가 깊어 노사의 후손인 奇宇萬과 더불어 자주 논변이 있었다. 奇宇萬이 일으킨 의병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이후 栗里田舍에 숨어 살면서 제자를 양성하
기대승(奇大升)의 고봉집(高峯集)
『고봉집』은 3권의 시문과 「논사록」 2권 등 모두 5권 5책으로 되어 있다. 서문은 張維와 張顯光이 썼는데, 장유는 기대승이 처음에는 김인후를 종유하다가 이황의 수제자가 되었다고 하였고, 장현광은 퇴계가 斂藏謙退‚ 淸修高節하다면 기대승은 超揚發越‚ 直截峻特하다고 평하였다. 기대승의 일생이 연도별로 자세하게 기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
정의림鄭義林의 자는 계방季方, 호는 일신재日新齋이며 본관은 광산으로, 綾州 大德에서 鄭濟玄과 珍原朴氏 致聖의 딸 사이에서 1845년(憲宗 11) 11월 출생했다. 그의 선조들은 조선시대 때 纘 이후 나주에 줄곧 거주하였으나, 그의 증조 埰가 영암으로 이주하고 조부 加錫이 다시 능주에 이주하였으며, 정의림의 조부
승유재(承裕齋)
광주시 북구 매곡동 산 30번지승유재는 광산김씨 군수공 서헌(瑞軒) 김극치(金克?)와 配 영인 김씨(金氏)의 재실이다. 비선등 선영 아래에 있다.사재감 부정공 김삼성(金三省)의 아들인 군수공 김극치(金克?)의 호는 서헌(瑞軒)이다. 무과에 급제, 조산대부 양산군수를 지냈으며 선정을 베풀어 거사비를 세
이희용
쌍석(雙石) 이희용(李熙容, 1853∼1931)의 자는 國瑞, 본관은 全義로, 1853년 1월 27일 광주 흑석동에서 출생했다. 어려서부터 행동거지가 단정했으며, 독실하게 배웠다. 1874년 약관에 장성의 노사 기정진 문하에 들어가, 1875년 莘塢 金祿休와 사귐을 맺고 노사선생 문하에서 동문수학했다.1879년면암 최익현을 만났다
김선지
김선지(金銑之, 1570~1597), 湖節3下-182-2, 光州, 壬辰, 熊峙殉節-《호남절의록》(1799)김선지의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여휘(汝輝), 호는 제남(濟南)이며 참봉 김하(金河)의 후손, 생원 김안방(金安邦)의 아들이다. 지혜와 용맹이 남달리 뛰어나 선조 21년 戊子에 무과에 합격했다.임진왜란(壬辰倭亂)에 선전관(宣傳官)
설강 류사 柳泗(1503~1571)
 설강 유사(雪江 柳泗)(1502~1571)는 조선 중기 문신이며 자는 중연, 본관은 서신이고 호는 설강이다. 교수였던 서희송과 어머니 청송심씨 아들로 유득공현(현재 대촌면 이장동)에서 태어났다. 1522년 21세에 진사가 되었고, 1528년 27세에는 문과 별시에 병과 4등으로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며 병국의 추천으로 외
이지호 李贄鎬
이지호(李贄鎬, 1836~1892)는  광주 이씨, 자는 동현(東賢), 호는 지남(芝南)으로 광산(光山)에서 태어났다.  청심당(淸心堂) 이조원(李調元)의 후손이다. 아들 이승우(李承愚, 1855~1919)는 화순 출신으로, 일신재(日新齋) 정의림(鄭義林)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서양 오랑캐에 대응하여 자주적인 사상
지남정사
광주 지남정사(芝南精舍)는 조선 후기의 학자 이지호(李贄鎬, 1836~1892)가 지어 학문을 탐구하고 연구하며 지냈던 곳이다. 이지호는  광주 이씨, 자는 동현(東賢), 호는 지남(芝南)으로 광산(光山)에서 태어났다.중국을 존중하고 서양오랑캐를 물리친다는 존왕양이론(尊王攘夷論)의 최익현(崔益鉉), 이항로(李恒老),
호가정 浩歌亭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   호가정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단종 때 계유정란에 공을 세워 정란공신 3등에 책록되었고 세조 때 중추원첨지사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공조참판을 지낸 설강(雪江) 유사(柳泗: 1502∼1571)가 지은 정자이다. 《광주읍지》(1879, 1924)에는 주의 서쪽 무이구강武夷九江의 위에 있다.
초당 草堂
북구 청풍동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동쪽 10리에 있다. 지평 증직을 받은 평산신씨 신형申瀅이 건립했다. 그러나 오랜 세월로 저절로 무너져 없어졌다가 5세손 서산거사西山居士 신현정申鉉禎이 다시 중건하였으나 지금은 없다. 신현정은 덕계(德溪) 신건(申楗)의 후손이다. 노사 기정진의 문하에서 수
죽파재 竹坡齋
북구 청풍동 (신촌마을)   《광주읍지》(1924)에는 주의 동쪽 10리에 있다. 청풍마을에 있는 건물로 남평문씨의 여러 종친들이 이곳을 중심으로 학문을 강학했던 장소이다. 균산筠山 문용현文龍鉉(1837~1886)은 노사 기정진의 제자로 죽파재에서 많은 후학을 배출했다. 기정진의 기문과 위당 신헌의 제액이 있다. 문
죽계정(竹溪亭)
무성한 푸른대는 황계(黃鷄)에 비치고맑고 찬기운 세모(歲暮)에 과시함을 점쳐얻었네.벗을 기다리는 뜰가에 가을 빛이 늦고옷깃을 씻은 난간엔 저녁빛이 나직하네.   바람앞에 거문고는 스스로 서리앞의 가지를 사랑하고달아래 거울은 먼저 비갠 언덕에서 보네.오늘에 쫏고 가는 기울의 글귀는모름지기 정자위의 시
임이재(臨履齋, 임리재)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이재(臨履齋), 조선 후기 유학자 오태규(吳泰圭 1795∼1866)가 학문을 강구하고 후학을 강학했던 곳이다.  자는 덕현(德現)이고, 호는 임이재(臨履齋), 나주(羅州) 오(吳)씨다. 증조부는 오수원(吳洙源)이고, 조부는 오정상(吳正相)이며, 부친은 오영효(吳榮孝)인데 모두 문학으로 이름을 드
읍취정 挹翠亭1
북구 우치로 236 (오치동)   창건연대는 확실치 않다. 하서 김인후가 정자 이름을 지었다는 점에서 1570년대 무렵으로 여겨진다. 임진왜란 때 김천일 장군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진주성 싸움에서 왜적과 대적하다 순절한 승사랑 읍취 이방필(李邦弼, ?~1592)의 후손이 세웠다. 그 후손이 이양원(1526~1592)으로 호는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